Ph.D. Master Thesis
1. Ph.D. (21)
2024.02. 양제윤. 음식점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형태 특성에 대한 연구: CNN 기반 특징 추출의 적용 A Study on Urban Form Characteristics Influencing Restaurant Location: An Application of CNN-based Feature Extraction. (이제승(서울대), 권영상, 이승재(UofT), 이수기(한양대), 정승현(건설기술연구원))
2023.08. 김효정. 특별건축구역 제도를 통해 조성된 아파트 단지 경관계획의 특성과 평가. (김세훈(서울대), 권영상, 임유경(건축공간연구원), 김진욱(예지학), 나인수(인천대))
2023.02. 주종웅. 부동산정책에 따른 투자심리와 주택가격 변화에 관한 연구-자연어처리를 활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분석. (김태형(서울대), 권영상, 김진유(경기대), 홍성조(충북대), 신중진(성균관대))
2023.02. 임다혜. 주거환경과 청년 우울의 관계-주거환경 만족도와 인지된 회복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depressive mood of young adults-focused o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박인권(서울대), 권영상, 강범준(인하대), 김은정(계명대), 유승현(서울대)).
2023.08. 진현영. 축소도시 내 근린환경과 건강:건강관련시설을 중시으로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Health in a Shrinking City: Focusing on Health-Related Facilities. (유승현(서울대), 권영상, 김세훈(서울대), 김은정(계명대), 김형규(홍익대)).
2022.02. 정요한. 파라메트릭 디자인 기반 공동주택의 최적 조망 계획안 도출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Method for Optimizing the View of an Apartment Complex Based on Parametric Design. (조항만(서울대), 권영상, 박정대(경기대), 김대성(어반인사이트), 김진욱(예지학)).
2021.08. 유혜정. 재개발사업을 통해 공급된 공원의 공공성 인식에 관한 연구-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이제승(서울대), 권영상, 김승남(중앙대), 맹다미(서울연구원), 염철호(건축공간연구원)).
2021.08. 주영하. 시각적 정연성이 가로경관의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그 형성요인-서울시 내 6가지 가로유형을 중심으로. (김세훈(서울대), 권영상, 이희정(서울시립대), 김승남(중앙대), 김경배(인하대)).
2021.08. 서유강. 문화예술 용도의 택티컬 어바니즘 활용이 지역 장소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강준석(서울대), 권영상, 손동욱(연세대), 안용진(서울과기대), 손동필(건축공간연구원)).
2021.02. Zabel Ralf. Urban Regeneration in Germany: a focus on urban development promotion programs, social and affordable housing and public participation.
2021.02. 황지현. 가로환경의 인지적 특성이 상업가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보행자의 정서 구조에 따른 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
2020.08. 김성태. 일제 식민지기 문화정치 전략과 경성의 도시공간 - 근대문화시설의 입지 특성과 도시사회적 역할 변화를 중심으로.
2020.02. 이주경. 세종시 도시설계지침으로 구현된 도시공간의 개방․공유성 분석.
2019.08. 신유승. Housing Provision Policy and Planning Implementation in Transitional Vietnam: The Case of New Urban Area Housing Development in Hanoi.
2018.08. 서덕수. Residential Mobility, Housing Choice, and Price Determinants in Transitional Vietnam: The Case of Ho Chi Minh city 도시모이 이후 베트남의 주거 이동, 선택, 가격 결정요인 연구: 호치민시 사례 중심으로.
2018.08. 예태곤. 아파트 단지 녹지공간의 기후변화 완화효과 제고를 위한 생태환경 분야 인증항목 개선방안.
2018.02. 장지혁. 서울의 국지적 단독주택 증가 현상과 특성에 관한 연구.
2017.02. 유지현. The Impact of cityscape & Street Elements on City Tourism Satisfaction-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Western Tourists / 도시관광의 선택요인으로서 도시경관 가치인식 및 가로환경 인지 경향 연구.
2016.08. 이한울. 홍대 문화소비공간의 확장과 경계부 주거지역의 변화 특성.
2014.08. 김희철. 보행시간 및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형태 요인-서울시를 대상으로 Urban Form Factors Influencing Walking Time and Probability: A Case Study of Seoul.
2014.08. 양승호. 도시에서의 소득수준에 따른 거주지 분리가 거주민의 사회통합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come Segragation in Urban Residential Areas on Residents' Sense of Social Cohesion
2. Master (38)
2024.08. 박지수. 부산시 지역별 일자리 특성이 청년인구 이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24.02. 이지환. 공공장소로서 도시공간 특성에 따른 공개공지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서울시 종로구‧중구 일대의 프라임 오피스를 중심으로.
2024.02. 안새얀. 서울시 남산 주변 높이 관리제도의 View-Cone 도입방안 연구-용산구 관리구역 도출을 중심으로.
2024.02. 김영빈. 서울시 개방형 녹지 정책에 따른 상업 건축물 밀집 지역 외부 열쾌적성 개선효과 분석 – 서울시 무교다동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effect of improving external thermal confort in areas with dense commercial buildings according to Seoul’s open green space policy.
2024.02. 강민구. 생활인구 데이터를 활용한 수변공간 이용 활성화 요인 분석 – 서울 서북권 지류하천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Factors of Waterfront Space Vitalization: Case Study on Tributaries of Northwest Seoul.
2023.02. 조민경B. 한국의 도시계획 교육 바런과정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Process of the Urban Planning Education Curricula-Case of South Korea. (정창무, 권영상, 송재민).
2023.02. 이주현. COVID-19 시기 도시활력의 회복탄력성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발달상권을 중심으로. (정창무. 권영상. 송재민).
2022.08. 경보영. 북·중·러 접경지역 도시 간 교류협력 활동의 영향관계 분석 - DEMATEL 방법론을 활용하여 - An Analysis of Impact Relationship about Exchange and Cooperation Activities among Cities in the North Korea-China-Russia Border Area - Using the DEMATEL Methodology. (박인권, 권영상, 서덕수).
2022.08. 안제인. 서울시 지역 간 청년 고용 격차에 미치는 결정요인 및 예측 분석-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and Prediction Analysis of Youth Employment on Regional Diaparity in Seoul Using Random Forest. (박인권, 권영상, 서덕수).
2022.08. 조민경A. 공유형 PM 안전을 위한 주행환경의 위험도 평가 및 중요도 분석 연구. (강준석, 권영상, 김태형).
2022.08. 박채원. 광역교통시설 개발계획 발표가 주변 역세권 지가에 미치는 영향 – GTX A 노선을 중심으로. (강준석, 권영상, 김태형).
2022.08. 박세경. VR을 활용한 서울시 보행공간 녹지패턴의 만족 및 선도도 분석. (강준석, 권영상, 김태형).
2022.02. 김민호. 재건축사업의 필지특성이 부동산가치 상승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개별공시지가를 중심으로. (정창무, 권영상, 김현정).
2022.02. 김현준. 청년 창업을 위한 산업 특화형 공유 오피스의 입지 및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박인권, 권영상, 이제승).
2022.02. 원경연. 행정중심복합도시 공동주택의 경관선호도 특성 분석-도시특화사업이 도입된 2-1생활권을 중심으로. (김세훈, 권영상, 이유미).
2022.02. 권소형.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의 토지이용특성에 따른 입지분석. (박인권, 권영상, 유혜정).
2021.08. 박승제. 청년임대주택 공급이 1인가구 주택의 전월세 가격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주택 실거래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정창무, 권영상, 임재빈).
2021.08. 장휴산. 여름철 넷-제로에너지 공동주택 구현을 위한 재생에너지 기반의 열원 시스템 평가 및 적용방안. (여명석, 권영상, 강준석).
2021.02. 김정호. 도시지역 내 Covid-19 확산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시·구 공간시설 유형을 중심으로.
2021.02. 정광식. 서울시 저층주거지 내 주택개량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 주거환경관리사업 정비구역을 중심으로.
2021.02. 조원준. 젠트리피케이션 상업지 내 요식업 사업체의 생존 및 폐업 특성 분석 - 2010년 이후 서울을 대상으로 -.
2020.08. 소희진. 주상복합 저층부 상가의 브랜드화에 따른 공간특성 연구-2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2020.08. Isabella Perez. Urban Farming in Seoul. Adapting obsolete structures into urban agriculture facilities.
2020.02. 길은비. 관심지역(AOI) 도출기법을 활용한 도시활성(Urban Vitality) 추정 및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3도심 내 주요 역세권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2020.02. 지연희. 공공성 관점에서 본 프라임 오피스의 저층부 공간구성방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종로, 중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Method of Low-Rise Space of the Prime Office in View of Publicity- Focused on Jongjo, Jung-gu.
2020.02. Ma Ying. 도심 활성화를 위한 역사문화자원의 네트워크 구축 및 연결가로 설계 연구 – 중국 용정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uild a Network of Historic Cultural Resources and Design of the Connecting Streets to Revitalize Downtown- Focused on Longjing City, China.
2020.02. Feng Xuan. 서울 대림동 차이나타운 상업가로 경관인지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Identifiability Analysis of Daerim-Dong Chinatown Commercial Street in Seoul.
2020.02. 백종빈. 아파트 단지의 물리적 특성이 단지 내 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서울 AWS 지점을 중심으로 An Effect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Complex on City Temperature- Focused on Automatic Weather Station in Seoul.
2020.02. 김대환. SNS 이용 활성화에 따른 이용자의 상업시설 선택 성향 변화에 관한 실증 연구 : 광역시 주요 식품집객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 of Place Selection Pattern after Appearance by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Data: Focused on the popular restaurant business in 6 Metropolitan city in South Korea.
2019.08. Wei, Zi-Chuan 위자천. 중국 선전시(深圳市) 고신기술산업개발구(高新技術産業開發區) 창업카페의 공간적 특성 및 이용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Use Behavior of Start-up Cafes in Hi-Tech Industrial Development Zones.
2019.02. 부예은. 역세권에서의 물리적 환경이 자전거 이용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를 중심으로 –
2018.02. 추민식. 서울역 고가 공원 이용객의 이용 행태와 주변 지역 상권의 관계에 관한 연구.
2017.08. 조현민. 인천내항지역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민간부문 공간구성 전략.
2017.02. 정현진. 공공과 민간주도 산업단지 재생사업의 집단화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Analysis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Project Type of the Clustering Effect.
2017.02. 박주영. 도시 노후인프라 시설을 활용한 도시재생에 따른 주변 도시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rban Space Transition by the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Using Old Infrastructure Facility.
2017.02. 박정환. 모텔촌의 가로경관특성 분석-신촌 모텔촌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Streetscape Characteristics of Motel Districts: Focused on Sinchon Motel District.
2017.02. 송민석. 신도시 중심상업지역의 유흥지구화에 대한 연구 – 수도권 1기 신도시를 대상으로 A Study on adult entertainment districts being formed in new town's central commercial area: Case of 1st period new towns in Korea.
2016.02. 하종성. 2010년 이후 삼청동 상업화 과정에 따른 입면변화 연구.